초간단 경제공부

2024년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 상향과 증여세율 총정리 본문

재테크

2024년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 상향과 증여세율 총정리

Simple Economy Class 2023. 12. 29. 08:00
728x90
반응형

2024년 증여세 면제 한도 상향
2024년 증여세 면제 한도 상향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취득한

사람에게 부과하는 세금인 증여세는 유형,

무형 재산 모두에 적용되는 세금입니다.

 

간혹 증여세와 상속세를 헷갈려 하는 분도

있는데, 둘다 재산을 물려받는다 하는 면에서

기본 전제는 같지만 사망 전에 받을 경우에는

증여세, 사망 후에 받을 경우에는 상속세로

적용된다는 부분은 차이라 볼 수 있습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란?

 

증여를 받은 사람은 갑자기 재산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를 부과 받는데요.

 

자녀 증여세 같은 경우에도 늘 이슈인데

자칫 잘못 계산했다가는 엄청난 액수의

세금을 징수 당할 수 있어 미리 관련하여

정보들을 축적해 놓고 공부해야 합니다.

 

다만 모든 재산 이동에 있어 적용되는 게

아니라 비과세 항목도 있고 과세표준에 따른

증여세율도 다른 만큼 오늘 알려드리는 관련

정보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24년 증여세 비과세 항목
2024년 증여세 비과세 항목

 

먼저 증여세 비과세 항목을 확인해 볼게요.

 

크게 다섯가지로 볼 수 있는데,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증여를 받은 재산의 가액,

혼수 용품, 정당이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 학자금,

장학금, 기념품, 축하금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렇듯 모든 재산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미리 알고 좀 더 세밀히

증여세를 계산해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2024년 증여세율
2024년 증여세율

 

증여세를 산출할 때는 세율이 일반적인

세율보다 높게 책정되며 그 기준은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과세표준 1억원

이하일 경우 10% 세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적용 증여세율은 과세표준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올라가는데 최대 30억 초과일

경우 50%까지 적용받으니 참고하세요.

 

2024년 증여세 면제 한도
2024년 증여세 면제 한도

 

배우자 증여세 면제 한도는 6억원이며

직계비속이 직계존속에게 증여할 경우

5천만원, 기타 친족끼리는 1천만원의

증여세 면제 한도가 정해져 있는데요.

 

또한 직계존속이 직계비속에세 증여할

경우 5천만원이 공제되는데, 2024년부터는

혼인, 출산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1억원을

공제를 받을 수 있게 개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결혼할 때 양가에서 최대치로

증여받을 경우 남자 1.5억원, 여자 1.5억원

합쳐서 총 3억원까지 공제가 가능해진 거죠.

 

참고로 혼인일 전후로 2년 이내, 자녀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 기준을 적용받아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을 수 있어요.

 

또한 혼인할 때나 출산할 때, 혹은

혼인, 출산 합쳐서 공제받는 것까지 해서

세가지 중 선택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2024년 증여세 신고 기한 및 방법
2024년 증여세 신고 기한 및 방법

 

면제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을 증여했다면

반드시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증여세 신청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이때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신고할 수 있으며, 만약 이게 어려울 경우엔

관할 세무서에 직접 방문하면 되니 잊지

않고 꼭 신청, 납부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증여세와 관련하여 비과세 항목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과세표준에 따른

증여세율은 어떠한지, 또 2024년 증여세 면제

한도 기준은 어떻게 바뀌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