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4 청년월세지원
- 부채 상태
- 버거노믹스
- 2024 육아휴직제도
- 증여세 비과세 항목
- 금투자 수익률
- 2024 경기도 청년지원금
- 2024 경기도 청년 지원금
- 연말정상 간소화
- 금펀드 가입
- 장병내일준비적금 수령액
- 청년월세지원 연장
- KRX 금시장 거래
- 환급금 미리보기
- 경기도 청년 지원금 지원 내용
- 경기도 청년 지원금 지급 방법
- 30대 재테크 점검 사항
- 사후지급금제도
- 육아휴직급여 상한액
- 2024년 전기차 보조금
- 재테크 점검 사항
- 2024 경기도 청년 지원금 신청방법
- 월 소득
- 2024 장병내일준비적금
- 6+6 육아휴직급여
- 금투자 전망
- 30대에 꼭 해야 할 재테크
- 증권사 MTS 금투자
-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방법
- 2024 전기차 보조금
- Today
- Total
초간단 경제공부
2024 기초연금 수급액 및 기초노령연금 자격 신청방법 안내 본문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분들께 지급되는 기초노령연금은
개인적으로 신청해야만 지급되기 때문에
본인이 수급자격은 되는지, 신청은 어떻게
하는지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는데요.
지난해만 하더라도 기초연금 수급자격이
있는 24만명의 노인분들이 신청할 줄도
모르고 해야 하는 줄도 몰라서 기초노령연금을
수령하지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하죠.
이에 오늘은 2024 기초연금 수급액 및
기초노령연금 자격, 신청방법에 대해 상세히
안내해 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 테니 꼭
끝까지 집중하여서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우리나라에는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못했거나 가입 기간이 짧아 충분한 연금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노인이 많은데요.
따라서 국민연금 수준은 아니지만 최소의
금액으로 생활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돕는
기초노령연금을 소득, 재산이 일정 이하인
만 65세 이상 어르신께 지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노인
인구가 늘면서 기초연금을 2028년까지 월
40만원 지급할 수 있게 한다고 하는데요.
2021년 기준으로 만 65세 노인 중 빈곤층에
해당하는 비율이 무려 37.6%라고 하니 괜히
기초노령연금액을 올리겠다고 하는 얘기가
나오는 게 아니구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물가 상승분인 3.3%를
반영하여 33만 4000원으로 늘어날 예정이라
하니 미리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올해까지는 32만 3000원을 지급했기 때문에
1만 1000원이 인상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은 금액이라 할 수
있는데, 심각한 노년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니 이를 통해 노인 빈곤율
수치가 조금이라도 낮아지길 기대합니다.
참고로 만 65세가 되는 분은 생일이 되는
달로부터 1개월 전부터 신청이 가능한데요.
전국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에서는 물론이고
국민연금공단지사에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온라인으로는 복지로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기초연금 지급신청하면 되는데, 구비서류와
신청서 꼭 먼저 준비해 주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이런 변화로 인해 부부를 기준으로
기초연금이 국민연금 평균 수급액인 62만원을
웃도는 현상, 이에 따라 국민연금 가입자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는 문제도 예상되는데요.
또한 이는 공무원 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등을 받는 자 및 배우자 역시 해당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2028년까지 월 40만원씩을
지급하는 일이 결코 쉬워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외에도 기초연금 재원 마련을 위해 빚을
더 내야 한다거나 국민에게서 세금을 더
거두는 등의 일도 필요한 만큼 더 신중히
결정해야 할 일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오늘은 2024 기초연금 금액과 함께
기초노령연금 자격 및 신청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됐길 바라면서 다음
포스팅에서 또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바뀌는 육아휴직급여 6+6 제도 총정리 (2) | 2024.01.02 |
---|---|
2024년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 상향과 증여세율 총정리 (4) | 2023.12.29 |
2024년 실업급여 자격 조건 및 신청 방법 총정리 (0) | 2023.12.27 |
서울시 무제한 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사용처 총정리 (4) | 2023.12.26 |
2024 부모급여 아동수당 대상 혜택 지급시기 방법 총정리 (0) | 2023.12.24 |